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JBFC
- 전주
- 굿바이솔로
- 한국요리
- 화목난로
- 음식
- 캠핑카
- 여행
- British Columbia
- 세계여행
- 모터사이클로 일본여행하기
- 카라반
- 반려견
- 모터사이클로 세계여행
- 포르투갈
- bc
- 수도원
- 전주국제영화제
- 캐나다
- Vancouver
- 걷기모임
- 밴쿠버
- Francisco
- 전북FC
- 리스본
- BMWR1200RT
- Canada
- JIFF
- 독일
- 캠핑
- Today
- 4
- Total
- 273,665
목록전체 글 (576)
마술가게
아..황금 같은 한주가 다 지나가 버렸다. 문득 사람은 추억을 먹고 산다는 말이 떠올랐다 과연 나에게도 추억이란게 있는지 생각해보다가 두서없는 글을 써볼라고 한다.. 이번주에는 오랜만에 만난 우리과 친구들하고의 술자리가 많았다. 4-5명씩 6개 외곽 병원과 또 서로 다른과로 뿔뿔이 흩어져버려 근 한달만에 얼굴들을 보는지라..서로들 너무 반가워했다. 강의실에서 5년 째 지겹도록 얼굴을 봐온 사이들임에도 불구하고 한달 떨어여 있으니 또 그새 보고싶어진다. 생각해보면 참 좋았던 시절이다.(무슨 할아버지 말투같군..--;;) 대학에 처음 입학해 신입생 오리엔테이션에서 어색한 인사를 나누고..고등학교 동네 친구의 빈자리를 메꿔줄 좋은 친구들을 만나..5년간 지내왔다. 수업시간엔 친구들 대출하는게 큰 의무였다. 처..
무식한건 죄가 아니지만..의사가 무식하면 죄가 된다 했다. 요즘들어 딱 죄 짓고 사는 느낌이 든다. 교수님들의 질문공세가 이어질때면 차라리 쥐구멍으로 숨어들어가고 싶은 심정이다. 메스컴에서 건강상식이 보도 될때면..가끔씩(!!) 생소한 사실을 배우게 된다..-.-;; 예전엔 학년 올라가면 자연스레 알게 되겠지..라고 생각했으나..지금은 더 올라갈 학년도 없다..-.- TV에서 나이 지긋한 의사 혹은 한의사가 다음과 같이 말한다. "고기를 많이 많이 먹으면 콜레스테롤이 높아진다." 이때 나의 머릿속에선 다음과 같은 생각이 휘리릭 스쳐 지나간다. ""콜레스테롤이 뭐였더라..세포 인지질 이중층 사이에서 껴 있는 조그만 거였는데..그건 세포내 대사물질로 쓰이고 세포와세포 사이에 신호를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도 하..
대장암 환자의 수술이 있었다. 개복 수술을 했었으면 7시간 만에 끝났을 수술인데 우리 교수님께서 복강경 수술에 도전하시는 바람에 12시간의 수술이 되어 버렸다. 우리 학교가 원래 복강경을 처음에 도입했었고... 수원 쪽 부속병원은 개복수술만큼 정교하게 복강경 수술을 한다고 하니..여기도 그 trend에 따르려는 모양이다.수원에선 대장암 복강경 수술을 6시간만에 완벽히 끝낸다고 하니..정말 대단하다.. 같이 들어온 레지던트 선생님은 사다리 타서 걸리셨다며 한숨을 쉬셨다..불행한 상황에서 서로 동반자 관계가 되니 선후배 상관 없이 선생님이 참 친근하게 느껴졌다. 복강경 수술을 하면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아프지도 않고 수술수 감염등의 합병증도 현저하게 감소하며 입원 일자도 줄어든다. 그래서 담낭 절제술 같은..
실습 나오기 전까진..외과라 하면..공부는 하나도 안해도 되고..수술만 잘하면 되는 줄 알고 있었다. 즉 "skill"만 익히면 됬지...귀찮은 의학지식들을 "이해하고 암기할" 필요는 없을 거라는 엄청난 착각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막상 "외과"라는 팀에 합류되어 그 속에서 사람들을 겪고..느끼고, 여러가지 경험을 해보니..외과 사람들이 참으로 공부도 열심히 한다는 것이다. 질병의 본질..즉..깊은 이해를 필요로 하는 학구적인 측면을 제외하고는 오히려..실제로 환자들에게 필요한 지식들에 대해서는 외과가 최고인 것 같다. 응급상황에서 실제로 써먹을 수 있는 지식과 그 이론적 배경들..그리고..피부 봉합 하나를 하더라도..교과서적인 이론을 반드시 숙지시킨 다음에야 자신이 쓰는 편한 방법을 가르쳐 주시는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