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는이야기

12월 14일

알 수 없는 사용자 2006. 12. 14. 01:33
반응형
사용자 삽입 이미지

몸은 아프지만 날짜 바꾸는 일까지 게을리하긴 싫어서....


몸이 아프니 두보의 시가 생각난다.

多病所須唯藥物  많은 병에 얻고자 하는 바는 오직 약물이니

微軀此外更何求  조그만 몸이 그것 이외 무엇을 구하리오.


                                  -두보 강촌 중에서-



말간 가람 한 마잘할 아나 흐르

긴 녀름 강촌애 일 마다 유심도다

절로 가며 절로 오니 집 우흿 져비오

서르 친며 서르 갓갑닌 물 가온 며기로다

늘근 겨지븐 죠 그려 쟝긔파

져믄 아다란나랄 두르뎌 고기 낫살 멩가나

한 병에 얻고져 논 바 오직 약물이니

져구맛 모미 이 밧긔 므스글 구리오

                                              -두시언해 중 강촌- (녹색글씨는 아래아가 들어간 부분)


고등학교 때 열심히 배워서인지 현대국어 해석보다 두시언해본의 해석이 더 마음절절하게 다가온다.


이왕 옛 시를 꺼내들었으니 내가 좋아하는 정읍사도 한번 꺼내본다.

달하 노피곰 도다샤

어긔야 머리곰 비취오시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져재 녀러신고요

어긔야 즌 대랄 드대욜세라

어긔야 어강됴리

어느이다 노코시라

어긔야 내 가논 대 졈그랄셰라

어긔야 어강됴리

아으 다롱디리

                                  -정읍사-


큰도시 전주 저자거리에 남편을 보내두고 걱정하는 마음을 잘 표현한 이 시(? 고려가요? 백제 노래?)를 설명하면서 고등학교때 국어선생님은 '즌 대랄 드대욜세라'를 이렇게 설명해 주셨었다.

"내가 학생때 국어선생님이 '가람 이병기'선생님이었거든... 그 선생님의 해석은 이랬어. 즌데란 여자 입장에서 뭐 험한 꼴을 당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그것보다는 요즘 말로 창녀촌이나 기생집의 여자를 의미한다고 봐야 한다고 말이야."

그 국어 선생님은 물론 나의 고등학교 선배이기도 했다.
소위 '전주고등학교'는 선생님 90여분중 절반이상이 모교 출신이었다.

그 선생님의 단골 메뉴중 하나가 서정주, 신석정, 이병기 선생님이 전주고등학교 국어선생님이었으며 그 중 신석정 , 이병기 선생님께는 직접 수업도 받으셨다는 것.

그러면서 이병기 선생님이 직접 설명해주신 자신의 시 난초에 대한 해석은 이랬다고 했다

난초

빼어난 가는 잎새 굳은 듯 보드랍고,

자주빛 굵은 대공 하얀 꽃이 벌고,

이슬은 구슬이 되어 마디마디 달렸다.

본디 그 마음은 깨끗함을 즐겨하여,

정한 모래 틈에 뿌리를 서려 두고

미진(微震)도 가까이 않고 우뢰(雨雷) 받아 사느니라.

                                             -이병기 난초-

"이게 다른 사람들은 이러쿵 저러쿵 설명하는 데 사실은 꼬추를 얘기한거야.
굳은 듯 보드랍고 <-- 맞지?
자주빛은 원래 자지빛이라고 쓰고 싶었어.
하얀 꽃이 벌고 이슬은... <--이건 정액을 얘기하는 거고.."
(나머지는 기억이 모자라는 관계로 생략)

선생님께 이런 얘기를 듣고 한샘국어의 설명을 보면 가관이었다.

'섬세한 감각과 절제된 언어로 난초의 고결한 외모와 세속을 초월한 본성의 아름다움을 신비롭게 형상화함.'

(쓰러진다 ^^*)


가끔 고등학교때 수업시간이 그립다.

난 국어와 지리시간이 제일 재미있었다.

지리는 내 평생 틀린 문제 개수가 10개가 넘지 않을 것이다.


그때 꼭 세계일주를 해보고 싶었는데... 가능할지 모르겠다.

반응형

'사는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디오스타  (3) 2006.12.24
  (5) 2006.12.18
감기몸살  (7) 2006.12.13
집 곳곳  (6) 2006.12.11
다음 3.4 아이디  (2) 2006.12.10